“결혼은 문화의 거울이다”라는 말,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저도 처음엔 그저 외국 친구의 결혼식에 초대받은 일이었는데,
막상 베트남 결혼식에 참석해보니 단순한 예식이 아니라 ‘가족 전체의 축제’더라고요.
신랑신부보다 양가 부모님과 친척의 역할이 크고,
절차는 하루가 아니라 며칠에 걸쳐 진행되고,
‘신부 집에서 먼저 결혼식을 한다’는 것도 낯설었어요.
그래서 오늘 이 글에서는
✔️ 베트남 결혼식의 전통 관습
✔️ 지역에 따라 다른 예식 절차
✔️ 신랑·신부·가족의 역할
✔️ 베트남 결혼식에서 지켜야 할 예절
✔️ 한국인으로서 초대받았을 때 준비사항까지!
한 번 보면 베트남 결혼 문화에 대해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체험기 형태로 정리해드릴게요.
📌목차
- 베트남 결혼식, 왜 가족 전체의 행사인가?
- 전통 결혼식 절차 – 혼례 준비부터 예식까지
- 지역마다 다른 결혼 관습 – 북부 vs 남부
- 결혼식 예절 – 복장, 선물, 인사법
- 외국인으로서 초대받았을 때 꼭 알아야 할 팁
1. 베트남 결혼식, 왜 가족 전체의 행사인가?
베트남은 유교적 전통이 강한 나라예요.
그래서 결혼은 두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두 집안의 결합을 의미해요.
👩👩👧👦 양가 어르신의 역할
- 신랑신부보다 부모님이 더 중요한 존재로 여겨짐
- 결혼식 때 ‘가문의 얼굴’로 소개되고, 직접 인사받는 자리 많음
- 특히 신랑 쪽 부모님이 신부 측에 허락을 구하는 개념으로 예식 시작
💡 베트남 결혼 문화 키워드
- 가문 중심: 가족의 체면, 자존심이 결혼식에서 중요
- 양가 협의 필수: 결혼 전 양가 부모님끼리 사전 상견례와 결혼조건 논의
- 결혼 전 통과 의례: 선물 교환, 날 받기(길일 잡기), 전통 예물 등이 관례
2. 전통 결혼식 절차 – 혼례 준비부터 예식까지
전통적인 베트남 결혼식은 보통 3단계로 나뉘어요.
🧺 ① Đám hỏi (다므 허이 – 약혼식)
- 결혼 전 신랑 집이 신부 집에 선물(예물)을 들고 가서 허락을 받는 절차
- 선물은 붉은 천으로 감싼 과일, 술, 케이크, 차, 전통의상 등이 있음
- 신랑의 가족이 신부 가족에게 존경을 표현하는 자리
📝 특징:
- 예물은 보통 홀수(3, 5, 7) 개로 구성
- 선물은 신부 가족이 일부를 돌려주기도 함 (감사의 의미)
🏮 ② Rước dâu (르억 자우 – 신부 맞이)
-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신부를 집으로 데리고 오는 절차
- 이때 가장 화려한 전통의상(아오자이)을 입고 사진촬영
- 가족 전원이 함께 이동하고, 예물 다시 전달
📌 흥미 포인트:
- 보통 이 과정은 아침 일찍 시작해서 식사 전후로 마무리
- 신랑의 가족은 정해진 문장으로 신부 가족에게 허락을 구함
🎉 ③ Tiệc cưới (띠엑 꾸이 – 피로연)
- 결혼식의 메인 파티, 보통 호텔이나 대형 식당에서 열림
- 수백 명의 하객이 참석, 식사와 축하공연 진행
- 사진 촬영, 건배, 신랑신부 무대 입장 등 현대식 요소도 많음
3. 지역마다 다른 결혼 관습 – 북부 vs 남부
베트남은 남북 문화 차이가 꽤 커요.
특히 결혼 문화에서는 절차, 예산, 분위기 모두 조금씩 다르답니다.
가족 중심성 | 매우 강함, 격식 중시 | 실용적, 분위기 위주 |
예물 수 | 많고 복잡함 (9~11개) | 비교적 단순 (5~7개) |
예복 스타일 | 정통 아오자이 + 헤어장식 | 캐주얼한 웨딩드레스도 가능 |
피로연 규모 | 가족·친지 중심 소규모 | 친구·직장 동료 포함 대형 연회장 |
🎯 공통점:
- 붉은색이 길조의 상징이라 예식장 장식과 복장에 자주 사용됨
- 보통 예식 1~2주 전부터 마을 사람들이 도와서 준비하기도 함
4. 결혼식 예절 – 복장, 선물, 인사법
👗 복장
- 여성: 단정한 원피스, 아오자이 착용도 인기
- 남성: 셔츠+정장 바지 or 간단한 정장
- 금기사항: 흰색 전체 옷차림은 장례식 연상으로 피하는 게 좋아요!
🎁 선물
- 주로 현금 축의금
- 액수는 300,000~1,000,000 VND 수준 (약 2만~5만 원대)
- 빨간 봉투(bao lì xì)에 넣어 전달
🙏 인사법
- 하객은 식 시작 전 신랑·신부 및 양가 부모님께 정중히 인사
- 신랑신부가 무대에서 각 테이블을 돌며 인사하고 건배
- 한국처럼 순서에 맞춰 앉는 개념은 없고, 자유로운 착석 구조
5. 외국인으로서 초대받았을 때 꼭 알아야 할 팁
✅ 현지어 몇 마디 배우기
- “Chúc mừng hạnh phúc!” – 축하합니다 (결혼식에서 자주 쓰는 인사)
- “Xin chào” – 안녕하세요
- “Cảm ơn” – 감사합니다
✅ 식사 예절
- 피로연에선 모든 음식이 한꺼번에 나옴 (에피타이저 → 디저트 순 아님)
- 손 대기 전 어른이 먼저 집어야 함
✅ 예식 시간 엄수
- 베트남 사람들은 길일에 맞춰 정확한 시간에 시작하기 때문에,
- 한국처럼 30분~1시간 늦는 문화가 아니에요.
- 특히 신부 맞이(Rước dâu)는 시간 엄수 중요!
✅ 사진은 자유롭게!
- 예식장에 포토존 마련되어 있음
- 신랑신부와 자유롭게 사진 찍을 수 있음 (하지만 사전 양해는 기본 매너)
✅ “베트남 결혼식은 전통과 가족, 그리고 따뜻함 그 자체였어요”
한국과 너무 다른 모습에 처음엔 놀랐지만,
결국 느낀 건 하나였어요.
‘결혼은 사랑하는 사람과, 그 가족 모두가 함께하는 축복의 순간’이라는 것.
베트남 결혼식은 겉보기엔 시끌벅적하고 격식 있어 보일 수 있지만,
그 안엔 진심 어린 환대와 공동체의 정서가 녹아 있어요.
만약 베트남 친구나 지인의 결혼식에 초대받게 된다면,
부담 갖지 말고 기꺼이 함께해보세요.
당신도 어느 순간, 그 따뜻한 문화 안에 깊이 스며들게 될 거예요.
'신박한 해외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탁에 보드카가 없으면 환영이 아니랍니다” – 러시아 식사 문화 체험기 🍞🍲🥃 (8) | 2025.08.10 |
---|---|
“핀란드 사람들은 왜 매일 사우나에 가는 걸까?” – 핀란드 사우나 문화 체험기 ♨️ (9) | 2025.08.09 |
“오후 4시는 꼭 비워두세요” – 영국 차 문화 체험, 해보면 생각보다 깊어요☕ (12) | 2025.08.07 |
호주인 생활패턴 [하루 루틴, 직장 문화, 생활 철학 포함] (12) | 2025.08.07 |
프랑스 와인 문화 [지역별 와인 특징, 식사 매너 포함] (5) | 2025.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