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은 정부의 지원 횟수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시술비 본인부담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사업이에요. 2025년부터 소득 기준이 폐지되면서, 모든 난임 부부가 지원 대상이 되었어요.
1. 지원 대상 및 조건
- 법적 혼인 관계 또는 사실혼 관계의 부부로서, 난임 진단서를 발급받은 자
- 부부 중 한 명은 신청일 현재 6개월 이상 계속해서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해야 해요.
- 소득 기준 폐지: 이전과 달리 2025년부터는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난임 부부가 신청할 수 있어요.
- 지원 시술: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신선배아/동결배아) 시술비 중 비급여 항목과 본인부담금을 지원해요.
2. 지원 횟수 및 금액
서울시의 지원 횟수는 정부 지원 횟수를 모두 소진한 이후에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
- 정부 지원 횟수: 인공수정 5회, 체외수정 20회 (총 25회)
- 서울시 추가 지원 횟수: 정부 지원 횟수를 모두 소진한 경우, 난임 시술을 최대 10회까지 추가로 지원해요.
지원 금액은 시술 종류와 회차에 따라 달라져요.
- 1회당 최대 지원금:
- 신선배아 시술: 110만 원
- 동결배아 시술: 50만 원
- 인공수정 시술: 30만 원
- 중복 지원: 서울시 지원은 정부 지원과 별개로 운영되지만, 정부 지원 횟수를 먼저 사용해야 서울시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3. 지원 신청 방법 및 구비 서류
서울시 난임부부 지원은 온라인 또는 관할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할 수 있어요.
- 온라인 신청: 서울시 임신출산정보센터(seoul-agi.seoul.go.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어요.
- 방문 신청: 부부 중 여성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해서 신청해요.
필수 서류:
- 난임 진단서: 정부 지정 난임 시술 의료기관에서 발급받은 진단서.
- 주민등록등본: 부부의 거주지 확인용.
- 혼인관계증명서: 법적 부부임을 확인. (사실혼 부부는 주민등록등본 및 사실혼 증명 서류 필요)
- 건강보험증 사본: 자격 확인용.
참고사항:
- 난임 시술 기관: 서울시의 지원은 지정 난임 의료기관에서만 유효해요.
- 진료 영수증: 지원금을 받으려면 시술 후 진료비 영수증을 제출해야 해요.
서울시의 추가 지원은 난임 부부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모든 난임 시술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비급여 항목이나 본인부담금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으니 꼭 활용해 보세요.
'퓨쳐셀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2025년 총정리 (0) | 2025.09.21 |
---|---|
부산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2025년 총정리 (0) | 2025.09.21 |
대전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2025년 총정리 (0) | 2025.09.21 |
대구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2025년 총정리 (0) | 2025.09.21 |
연체자 소액대출 2025년 최신 정보 (0) | 202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