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퓨쳐셀프

경기도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2025년 총정리

by 미준연 2025. 9. 21.

경기도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안녕하세요! 난임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는 경기도 난임 부부들을 위해, 2025년 경기도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모든 정보를 꼼꼼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경기도는 정부 지원과는 별도로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해서 난임 부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있어요.

1. 지원 대상 및 조건

경기도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은 정부 지원을 받은 이후에도 발생하는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항목을 지원해주는 사업이에요.

  • 법적 혼인 관계 또는 사실혼 관계의 부부로서, 난임 진단서를 발급받아야 해요.
  • 부부 중 한 명은 신청일 현재 6개월 이상 계속해서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해야 해요.
  • 소득 기준은 폐지되었어요. 2025년부터는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난임 부부가 신청할 수 있답니다.
  • 지원 시술: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신선배아/동결배아) 시술비 중 비급여 항목과 본인부담금을 지원해요.

2. 지원 횟수 및 금액

경기도의 지원은 정부 지원 횟수를 모두 소진한 이후에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

  • 정부 지원 횟수: 인공수정 5회, 체외수정 20회 (총 25회)
  • 경기도 추가 지원 횟수: 정부 지원 횟수를 모두 사용한 경우, 난임 시술을 최대 10회까지 추가로 지원해줘요.

지원 금액은 시술 종류와 회차에 따라 달라져요.

  • 1회당 최대 지원금:
    • 신선배아 시술: 최대 110만 원
    • 동결배아 시술: 최대 50만 원
    • 인공수정 시술: 최대 30만 원

경기도는 특히 본인부담금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인공수정 1회차 시술비가 총 70만 원이고 정부 지원금을 30만 원 받았다면, 나머지 40만 원의 본인부담금에 대해 경기도가 일부를 추가로 지원하는 방식이에요.

3. 지원 신청 방법 및 구비 서류

경기도 난임부부 지원은 온라인 또는 관할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할 수 있어요.

  • 온라인 신청: 정부24 또는 경기도 시군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
  • 방문 신청: 부부 중 여성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해서 신청해요.

필수 서류:

  1. 난임 진단서: 정부 지정 난임 시술 의료기관에서 발급받은 진단서.
  2. 주민등록등본: 부부의 거주지 확인용.
  3. 혼인관계증명서: 법적 부부임을 확인. (사실혼 부부는 주민등록등본 및 사실혼 증명 서류 필요)
  4. 건강보험증 사본: 자격 확인용.

참고사항:

  • 난임 시술 기관: 경기도의 지원은 지정 난임 의료기관에서만 유효해요.
  • 진료 영수증: 지원금을 받으려면 시술 후 진료비 영수증을 제출해야 해요.

경기도의 추가 지원은 난임 부부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모든 난임 시술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비급여 항목이나 본인부담금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으니 꼭 활용해 보세요. 경기도의 각 시군별로 세부적인 지원 내용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거주지 보건소에 문의해보는 것이 가장 정확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