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퓨쳐셀프

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2025년 총정리

by 미준연 2025. 9. 21.

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은 정부의 지원 횟수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시술비 본인부담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사업이에요. 2025년부터 소득 기준이 폐지되면서, 모든 난임 부부가 지원 대상이 되었어요.

1. 지원 대상 및 조건

  • 법적 혼인 관계 또는 사실혼 관계의 부부로서, 난임 진단서를 발급받은 자
  • 부부 중 한 명은 신청일 현재 6개월 이상 계속해서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해야 해요.
  • 소득 기준 폐지: 이전과 달리 2025년부터는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난임 부부가 신청할 수 있어요.
  • 지원 시술: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신선배아/동결배아) 시술비 중 비급여 항목과 본인부담금을 지원해요.

2. 지원 횟수 및 금액

서울시의 지원 횟수는 정부 지원 횟수를 모두 소진한 이후에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

  • 정부 지원 횟수: 인공수정 5회, 체외수정 20회 (총 25회)
  • 서울시 추가 지원 횟수: 정부 지원 횟수를 모두 소진한 경우, 난임 시술을 최대 10회까지 추가로 지원해요.

지원 금액은 시술 종류와 회차에 따라 달라져요.

  • 1회당 최대 지원금:
    • 신선배아 시술: 110만 원
    • 동결배아 시술: 50만 원
    • 인공수정 시술: 30만 원
  • 중복 지원: 서울시 지원은 정부 지원과 별개로 운영되지만, 정부 지원 횟수를 먼저 사용해야 서울시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3. 지원 신청 방법 및 구비 서류

서울시 난임부부 지원은 온라인 또는 관할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할 수 있어요.

  • 온라인 신청: 서울시 임신출산정보센터(seoul-agi.seoul.go.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어요.
  • 방문 신청: 부부 중 여성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해서 신청해요.

필수 서류:

  1. 난임 진단서: 정부 지정 난임 시술 의료기관에서 발급받은 진단서.
  2. 주민등록등본: 부부의 거주지 확인용.
  3. 혼인관계증명서: 법적 부부임을 확인. (사실혼 부부는 주민등록등본 및 사실혼 증명 서류 필요)
  4. 건강보험증 사본: 자격 확인용.

참고사항:

  • 난임 시술 기관: 서울시의 지원은 지정 난임 의료기관에서만 유효해요.
  • 진료 영수증: 지원금을 받으려면 시술 후 진료비 영수증을 제출해야 해요.

서울시의 추가 지원은 난임 부부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모든 난임 시술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비급여 항목이나 본인부담금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으니 꼭 활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