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연말정산 준비, 벌써 시작하셔야죠! 특히 IRP(개인형 퇴직연금)는 '13월의 월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예요. 월급이 총급여 5,500만원이라면 세액공제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는 '핵심 소득 구간'에 해당된답니다.
총급여 5,500만원 기준, 2025년 IRP 세액공제 한도와 최대 환급액에 대해 아주 쉽고 명쾌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 IRP 세액공제 최대 한도 (납입액 기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2025년 기준으로 IRP와 연금저축을 합산했을 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최대 납입액 한도는 연 900만원이에요.
구분 | 연간 세액공제 대상 납입 한도 | 비고 |
연금저축 | 최대 600만원 |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연금저축에 먼저 납입해야 해요. |
IRP |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최대 900만원 | IRP에만 900만원을 넣어도 되고,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을 넣어도 돼요. |
총 한도 | 900만원 | IRP 단독 또는 연금저축과 합산한 금액이에요. |
- 꿀팁: 연금저축만 가입했다면 최대 600만원까지만 공제되지만, 여기에 IRP를 추가로 가입하면 300만원을 더 채워서 총 900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IRP는 연금저축의 확장판'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워요!
2. 총급여 5,500만원의 '세액공제율'은 몇 %?
총급여액에 따라 세금을 돌려주는 세액공제율이 달라지는데요, 여러분의 총급여 5,500만원은 가장 높은 공제율을 적용받는 '황금 구간'에 해당해요!
총급여 기준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 세액공제율 (지방소득세 포함) |
5,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500만원 이하) | 16.5% |
5,500만원 초과 | 13.2% |
3. 최대 환급 금액 계산 (최대 혜택)
총급여 5,500만원 근로자가 IRP와 연금저축을 활용해 세액공제 한도를 최대로 채웠을 때, 연말정산에서 돌려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을 계산해 볼게요.
결과:
- 총급여 5,500만원 이하인 분이 IRP와 연금저축에 총 900만원을 납입하면, 연말정산 때 세금으로 최대 148만 5천원을 돌려받을 수 있어요!
4. 추가 꿀팁: ISA 만기 자금의 IRP 전환
최근 세법 개정으로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만기 해지하고 그 잔액을 IRP로 전환하면 세액공제 한도가 추가돼요!
- 추가 한도: 전환 금액의 10% (최대 300만원 한도)
- 활용법: 만약 ISA 만기 금액을 IRP에 3,000만원 전환하면, 전환 금액의 10%인 300만원이 기존 900만원 한도에 추가되어 총 1,200만원까지 세액공제 대상 금액이 될 수 있어요.
ISA 만기 시점에 맞춰 IRP 전환을 계획한다면, 최대 1,485,000원 (900만원 * 16.5%)을 넘어서 더 많은 환급을 받을 수도 있다는 점, 꼭 기억해 두세요!
요약하자면, 총급여 5,500만원이신 분들은 IRP와 연금저축을 합산해 연간 900만원을 채우고, 거기에 ISA 만기 자금까지 활용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세테크를 할 수 있답니다. 지금부터라도 매월 꾸준히 납입해서 내년 초 연말정산 때 넉넉한 '13월의 월급'을 꼭 챙기시길 바라요!
'퓨쳐셀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P 추천 및 연금저축 비교 : 세액공제 혜택 극대화 전략 (2025년) (0) | 2025.10.06 |
---|---|
SC제일은행 직장인 신용대출 온라인 전용 무서류 한도조회 (0) | 2025.10.06 |
부산은행 LIVE정기예금 금리 특판 우대조건 (비대면 가능 여부) (0) | 2025.10.06 |
우체국 예금 보험 2025년 가이드 (예금자 보호 한도 및 상품 특징) (0) | 2025.10.05 |
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2025년 총정리 (0) | 202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