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퓨쳐셀프

2025년 퇴직연금 IRP 세액공제 한도 최대 (총급여 5500만원 기준)

by 미준연 2025. 10. 6.
반응형

퇴직연금 IRP 세액공제

2025년 연말정산 준비, 벌써 시작하셔야죠! 특히 IRP(개인형 퇴직연금)는 '13월의 월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예요. 월급이 총급여 5,500만원이라면 세액공제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는 '핵심 소득 구간'에 해당된답니다.

총급여 5,500만원 기준, 2025년 IRP 세액공제 한도와 최대 환급액에 대해 아주 쉽고 명쾌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 IRP 세액공제 최대 한도 (납입액 기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2025년 기준으로 IRP와 연금저축을 합산했을 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최대 납입액 한도는 연 900만원이에요.

구분 연간 세액공제 대상 납입 한도 비고
연금저축 최대 600만원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연금저축에 먼저 납입해야 해요.
IRP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최대 900만원 IRP에만 900만원을 넣어도 되고,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을 넣어도 돼요.
총 한도 900만원 IRP 단독 또는 연금저축과 합산한 금액이에요.
  • 꿀팁: 연금저축만 가입했다면 최대 600만원까지만 공제되지만, 여기에 IRP를 추가로 가입하면 300만원을 더 채워서 총 900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IRP는 연금저축의 확장판'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워요!

퇴직연금 IRP 세액공제


2. 총급여 5,500만원의 '세액공제율'은 몇 %?

총급여액에 따라 세금을 돌려주는 세액공제율이 달라지는데요, 여러분의 총급여 5,500만원은 가장 높은 공제율을 적용받는 '황금 구간'에 해당해요!

총급여 기준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세액공제율 (지방소득세 포함)
5,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500만원 이하) 16.5%
5,500만원 초과 13.2%
총급여 5,500만원이신 분은 딱 16.5%의 높은 공제율을 적용받아요. 5,500만원을 초과하는 순간 공제율이 13.2%로 낮아지니, 이 구간에 계신 분들은 최대한 이 혜택을 놓치지 않아야 해요!

퇴직연금 IRP 세액공제


3. 최대 환급 금액 계산 (최대 혜택)

총급여 5,500만원 근로자가 IRP와 연금저축을 활용해 세액공제 한도를 최대로 채웠을 때, 연말정산에서 돌려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을 계산해 볼게요.

 

결과:

  • 총급여 5,500만원 이하인 분이 IRP와 연금저축에 총 900만원을 납입하면, 연말정산 때 세금으로 최대 148만 5천원을 돌려받을 수 있어요!

퇴직연금 IRP 세액공제


4. 추가 꿀팁: ISA 만기 자금의 IRP 전환

최근 세법 개정으로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만기 해지하고 그 잔액을 IRP로 전환하면 세액공제 한도가 추가돼요!

  • 추가 한도: 전환 금액의 10% (최대 300만원 한도)
  • 활용법: 만약 ISA 만기 금액을 IRP에 3,000만원 전환하면, 전환 금액의 10%인 300만원이 기존 900만원 한도에 추가되어 총 1,200만원까지 세액공제 대상 금액이 될 수 있어요.

ISA 만기 시점에 맞춰 IRP 전환을 계획한다면, 최대 1,485,000원 (900만원 * 16.5%)을 넘어서 더 많은 환급을 받을 수도 있다는 점, 꼭 기억해 두세요!

퇴직연금 IRP 세액공제

 

요약하자면, 총급여 5,500만원이신 분들은 IRP와 연금저축을 합산해 연간 900만원을 채우고, 거기에 ISA 만기 자금까지 활용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세테크를 할 수 있답니다. 지금부터라도 매월 꾸준히 납입해서 내년 초 연말정산 때 넉넉한 '13월의 월급'을 꼭 챙기시길 바라요!

반응형